안녕하세요!
저번시간엔 가계의 수요곡선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이번엔 기업의 공급곡선에 대해 알아보아요!









수요곡선은 가계와 연결되어 있고,
공급곡선은 기업과 관련이 있다.


공급곡선이란?


경제학에서 생산물의 가격과 공급량 사이의 관계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
(네이버 지식백과)



라고 정의한다.


가격이 상승하면 공급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공급곡선 그래프는 우상향하는 정비례 그래프가 된다.




즉, 수요곡선과 같은 방법으로
가로 x축에는 수요량, 세로 y축에는 가격을 기준으로 판매가격과 기업의 공급량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수요곡선과는 반대인 우상향!



이 그래프을 이해할 때 알아야하는 한계비용이 있다.


한계비용이란?

생산물 한 단위를 추가로 생산할 때 필요한 총 비용의 장가분으로 한계생산비라고도 부른다.
(지식백과 정의)



당근을 생산할 때 한계비용에 영향을 주는 경제변수들이 있을까?


당연하다. 어떤 재화를 만들어 낼 때 생각하지 못했던 변수들이 생기기 마련이다.
이 때, 경제변수들이 변하면 당연히 한계비용도 변한다.


결과적으로 당근의 가격이 똑같아도 기업이 공급하고 싶어하는 수량은 변한다.




생산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바로 가격이다.


예를 들어보자.

당근을 수확할 때 혼자 할 수 없으니 함께 일할 사람을 고용한다. 생산비용에 임금이 포함된다. 임금이 올라가면 생산비용도 상승한다. 그렇기 때문에 한계비용도 상승하게 된다. 이 때 현재와 같은 가격으로 시장에 팔게 되면 전혀 이익이 나지 않는다. 그렇기에 당근의 공급이 감소될 것이다.


그래프를 그리게 되면 왼쪽으로 곡선이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하게 되는 것을 공급곡선의 이동이라고 한다.




임금 외에도 경제변수가 있을까?



당근이다.


비가 오지않아 가뭄이 오래 지속되거나 태풍이 밭을 휩쓸고 갔을 때 등 천재지변으로 인한 경우, 기술적인 문제가 생기는 경우 등 당근을 만들어내기에 비용이 더욱 많이 들어갈 때 공급곡선은 왼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미시경제학에서는 공급공급량의 변화를 구분하고 있다.


공급량의 변화

✔️해당 재화의 가격이 변해서 공급곡선
점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이동

✔️공급곡선에서 이루어지는 변화





공급의 변화

✔️가격을 제외한 변화 요인에 의해 생기는 공급의 변동
(생산기술, 상품의 가격, 생산비용 등)

✔️공급곡선 자체가 변하는 것



고로, 임금 상승은 생산의 비용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공급곡선 자체가 변화하는 공급의 변화로 볼 수 있다.






어려운 내용이지만 공급곡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 또 만나요^^


모두 경제적 자유로 시선이 향하길 응원합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