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수요곡선에 대해 알아보아요!
마트에서 알아보는 수요변화
오늘 당근을 사러 마트에 갔다. 당근 하나에 1000원이라 3개 사려다가 5개를 사고 싶어 5개를 구매했다.
일주일 뒤, 다시 당근을 사러 마트에 갔다. 당근 하나가 2000원으로 올랐다. 똑같이 5개를 사려고 왔는데 가격이 올라 4개만 구매했다.
그러고 또 일주일 뒤, 마트에 갔다. 물가가 너무 올라 당근 1개에 3000원이었다. 당근은 필요한데 살까 말까 고민하다가 3개만 구매해서 나왔다.
위의 예를 살펴보자.
첫주에는 당근이 1개 1000원 -> 5개 구매
2주차엔 당근이 1개 2000원 -> 4개 구매
3주차엔 당근이 3000원 -> 3개 구매
가격이 올라가니 구매하는 개수가 줄어들었다. 다른 말로 바꿔보면 이렇다.
'가격이 상승하여 수요량이 줄어들었다.'
즉,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량은 작아지고, 가격이 내려가면 수요량은 커진다.
그래프를 그릴 때(수요곡선) 가로인 x축은 수요량이 되고, 세로인 y축은 가격이 된다. 이렇게 곡선을 그리면 후하향하는 곡선이 나온다.
수요곡선은 기본적으로 우하향하는 모양이다.
(형태는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수요곡선에 대해 알아볼 때 꼭 알아야하는 단어가 있다.
바로, 가처분소득
가처분소득이란?
가계의 수입 중 소비와 저축 등으로
소비할 수 있는 소득.
총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제하고
남아 저축이나 투자에 쓸 수 있는 금액
(네이버 위키백과 참고)
*비소비지출은 세금이나 의료보험등을
얘기한다.
수요는 가계의 가처분소득에 따라 변화한다.
월급에 보너스를 받거나 월급이 올라가면 사람들은 형편이 좋아져 사고 싶은 물건들을 마구 사고 싶어한다.
그렇기 때문에 수요가 증가한다.
재화 가격 이외의 변화요인이 될 수 있는 월급 즉 소득이 올라 수요에 변화가 생기고 수요곡선도 이동을 하게 된다. 새롭게 생긴 수요 곡선을 수요곡선의 이동이라고 부른다.

어떤 물건의 경쟁 관계에 있는 가격도 수요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감자나 양파와 같은 다른 채소들의 가격도 당근의 수요에 영향을 준다. 트렌드를 타거나 유행을 타고 기호에 따라 변화하는 재화도 수요 변화에 영향이 크다.
지금 살펴보는 미시경제학에서 수용하 수요량의 변화를 구분해서 설명한다.
수요량 변화 : 해당 물건의 가격이 변해서 동일한 수요 곡선 위의 점이 이동하는 것으로 수요 곡선에서 이루어지는 변화이다.
수요의 변화 : 가격을 제외한 변화 요인에 의해 생기는 변동을 말한다.(소득, 인구, 관련재의 가격 등이 요인)
수요 곡선 자체가 변하는 것을 수요의 변화라 한다.
오늘은 수요곡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 만나요!
'경제적 자유를 향한 시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요와 공급의 가격탄력성 (12) | 2022.04.04 |
---|---|
임금으로 변화하는 공급곡선 (5) | 2022.04.01 |
당근으로 알아보는 한계비용 (10) | 2022.03.23 |
눈에 보이지 않는 "기회비용" (16) | 2022.03.17 |
희소성은 상대적이다. (16) | 2022.03.14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