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을 몇 개 사는게 나에게 이익일까?

 

사람은 마트에 간다. 먹거리를 사거나 생필품을 사러 마트에 가야한다. 오늘은 음식에 당근이 필요해서 마트에 갔다. 당근코너를 둘러보니 당근이 1개에 1,000원이라는 가격표를 붙이고 있다. 당근의 가격을 내(소비자)가 정할 수 있을까?

 

 

NO! 마트의 가격은 마트에서 정한다. 소비자가 아니라 이미 정해져 있다는 것이다.

 

이것을 경제학 표현을 바꾸면, '시장 가격은 구입량과 상관없이 독립적인 일정한 갑을 취한다.'라고 할 수 있다.

 

 

이 때, 우리는 고민하게 된다.

 

"몇개를 사야 나한테 이익(이득)일까?"

 

 

 

 

 

우리는 오늘 "한계"에 대한 경제학 용어를 배워볼 것이다.

 

 

 

한계비용이란?

생산물 한 당위를 추가로 생산할 때 필요한 총비용의 증가분
(네이버 지식백과)

 

즉, 한계생산비라고도 불린다. 총비용 증가분의 생산량 증가분에 대한 비율로 표시한다.

총비용을 생산량으로 나눈 평균 생산비와 함께 생산비함수이다.

 

한계생산물의 감소와 증가를 반영한 것이다.

 

 

마트에서 1,000원에 파는 당근을 3개 샀다고 생각해보자. 당근을 1개 더 사는 것이 이익인지 손해인지를 한계비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미 천원의 당근을 3개 샀으니 3,000원을 지불했으므로 1개를 추가로 구입할 시엔 +1,000원. 총 결제 금액이 4,000원으로 늘어난다. 이때의 한계 구입금액을 계산해보자.

 

 

한계구입금액?

-> 재화를 1단위 더 구입할 때 지불하는 총비용의 증가분 (=한계용)

 

이것에 적용해보면 4,000-3,000= 1,000원 이므로, 한계구입금액은 처음 당근을 구매한 1,000원과 같다.

결국 가격은 재화를 소비할 때 지불하는 한계비용이다.

 

 

 

한계편익이란?

경제에서 어떤 재화를 한 단위 더 추가하여 소비할 때 누리게 되는 편익
(네이버 국어사전)

 

어떤 재화를 구입할 때 양을 늘리면 구입 총 비용이 증가한다. 이 소비에서 얻을 수 있는 만족도 역시 증가한다. 당근을 2개 사는 것보다 3개 사는 것이 만족도가 더 높다는 것이다.

 

하지만, 당근을 살 때마다 얻어지는 만족도는 작아진다. 

 

 

한계편익은 소비자의 생각에 의해 정해지므로 주관적이다. 즉, 재화를 하나 살 때 억을 수 있는 만족도를 화폐가치로 표현한 것을 한계편익이라고 한다.

 

 

 

가장 합리적인 소비는?

한계편익과 한계비용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소비해야 가장 합리적인 소비를 할 수 있다.

 

 

당근 하나를 구입할 때의 가격(한계비용)은 몇 개를 구입하나 당근은 1개 1,000원이다.

여기서 만약 3개째 샀을 때 한계편익이 1,500원이라면 1,000원을 주고 당근을 산다고 해도 그 돈으로 얻을 수 있는 만족도가 더 높으니까 사는 것이 이익(이득)이다.

 

하지만, 여기서 또 하나 더 추가를 해서 4개를 사게 될 때 한계편익이 500원이라고 하면 어떨까?

 

 

이경우는 한계비용보다 얻을 수 있는 만족도가 훨씬 낮기 때문에 당근을 사게 되면 손해임을 알 수 있다.

 

현재에서 가장 합리적인 소비는 1,000원짜리 당근을 3개 구입하는 것이다.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는 어떻게 될까?

 

1개 1,000원짜리 당근을 1개 2,000원으로 가격을 올려보자. 가격이 2,000원으로 올라갔으니 한계비용 또한 2,000원으로 상승한다. 2,000원 당근을 3개 살 때 부터는 한계비용이 2,000원으로 한계편익보다 높아 소비자는 손해를 본다.

(한계비용은 2,000원 한계편익은 1,500원)

 

 

이 경우에는 당근을 2개까지 사는 것이 이익이다.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는 내려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당근 가격이 상승하면 한계비용도 함께 상승하므로 당근의 수요량이 감소할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가장 합리적으로 당근을 사는 것은?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