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조금 어려운 개념인
가격변화와 대체 효과에 대해 알아보아요^^
어렵지만, 쉽게 설명해볼께요^^
이후는 -했다. -이다. 체로 갑니다 '
경제 공부 Start!
대체 효과란?
어떤 상품의 가격이 오르내릴 때에 그 대체재의 수요량이 늘거나 줄어들어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맞추는 일
(네이버 국어사전)
-> 어떤 상품의 가격이 오르거나 내릴 경우, 같은 용도의 값이 싸거나 비싼 상품으로 대체하여 소비하도록 만드는 효과를 말하며 예를 들어 버터값이 내리면 마가린을 사던 사람이 버터를 사는 것! 같은 현상을 가리킨다.
(네이버 어학사전)
이렇게 정의되어 있어요.

대체 효과는 소득 효과와 비교 할 수 있는데 소득 효과는 전 포스팅을 참고!
당근을 예로 들어보자.
당근의 가격이 감소하면 한계비용곡선BB는 아래로 이동한다. 당근의 구입량을 원래대로 유지한다면, 다른 대화를 구입하는 자금량이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걸 보아 가처분소득이 늘어남을 알 수 있다. 절대적이지 않고 상대적이라는 것도 알 수 있다. 당근의 가격 인하는 소득 확대의 효과를 낸다. 고로, 한계편인곡선을 위로 이동하게 된다.
정상재
: 소득이 증가하고나 감소하는 데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재화
✔️재화의 가격이 떨어지면 반드시 구입량이 증가!
정상재의 가격이 떨어지게 되면 한계비용곡선은 아래로 이동하고, 한계편익곡선은 위로 이동한다.
한계비용곡선과 한계편익곡선이 이동함에 따라서 균형점은 E0 에서 E2로 이동한다. 결국 당근의 소비량이 증가한다.
그래프를 보고 E0에서 E2로 이종하는 것과 E2에서 E1으로 이동하는 것을 따로 한 번 보자.
E0 -> E2 이동 : 대체 효과
한계비용곡선의 이동에 따른 효과이므로
대체효과로 본다.
E2 -> E1 이동 : 소득 효과
한계편인곡성 이동에 의한 효과이므로 소득효과로 볼 수 있다.
대체효과 vs 소득효과
대체효과는 실질적인 소득 변화 없이 가격 변화의 윰직임이고 양수이다.
소득효과는 정상재일 때는 양수, 열등재있 때는 음수가 된다.
여기서 알아두어야할 _ 소득효과가 음수일 때!
열등재는 가격이 떨어졌을 때 대체효과를 소득효과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정확한 효과 구분이 어렵고 어떤 효과가 나타나는지 알 수 없다.

고로, 당근 가격이 내려가면, 대체효과와 소득효과의 영향으로 당근의 소비가 늘어난다.
이상 오늘도 경제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이었습니다!
이 글을 보시는 모두의 경제적 자유로부터로 시선을 응원합니다!!

'경제적 자유를 향한 시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 존재의 목적 (9) | 2022.05.18 |
---|---|
기펜재, 대체재, 보완재 (5) | 2022.05.17 |
소득효과란? (7) | 2022.05.04 |
당근으로 알아보는 한계 효용 체감의 법칙 (2) | 2022.05.03 |
수요와 공급의 가격탄력성 (12) | 2022.04.04 |
최근댓글